데이터 엔지니어링 온라인 강의를 듣고 거의 4개월 가량을 미루고 미루다가 드디어 결심하고 아마존 AWS 서버를 만들기로 했다.
사실 무슨 데이터로 어떤 서비스를 올릴지 결정도 못했지만, 일단 만들다 보면 생기지 않을까 해서 덜컥 만들어봤다.
1) 일단 AWS 홈페이지(https://aws.amazon.com/)가서 로그인 하거나 가입하기
2) 가입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뜨는데 "View all Services"를 클릭한다.
3) EC2를 클릭한다.
4) Launch Instance를 클릭한다.
5) Name과 Tag를 써준다. (나는 깜빡하고 안썼는데도 알아서 잘 생성되었다.)
6) 어떤 운영체제를 쓸거냐고 물어보는데 Free Tier인 나는 별로 선택지가 많이 없어서 그냥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는거로 골랐다.
7) Key pair는 AWS에 보안토큰 같은 개념인데, Key pair를 생성하면 .pem 파일을 만들어서 자동으로 다운로드를 해준다. 이 파일이 있어야 AWS에 접속할 수 있다. Key pair 이름은 임의로 생성해주면 된다.
8) 네트워크 세팅에서 따로 만질건 없었고, 'Allow HTTPS traffic from the internet'과 'Allow HPPT traffic from the internet'에 체크를 해주었다.
9) Storage 즉 저장장치는 뭐 쓸꺼냐고 물어보는건데 나는 돈없으니 8GB SSD를 쓸꺼라규
10) 따단!!! 일단 성공적으로 만들어졌다. 막 쓰다가 돈 많이 나오면 안되니까 아래 'Create billing and free tier usage alerts' 를 클릭해서 돈나올거 같으면 알람 보내주는거 체크체크
11) 그리고 아까 전 화면으로 돌아가서 'Connect to Instance'를 누르면!